울산지역 30만 근로자와 100만 울산시민의 복지증진과 여가선용을 위한 근로자복지회관이 지난해 말 본격 문을 열고 운영에 들어갔다. 울산시와 노동계가 운영권 및 사무실 입주를 둘러싸고 5개여월간의 지리한 공방을 벌인 끝에 지난 연말 양자간 극적 대타협으로 복지회관이 시민의 품으로 되돌아 왔다. 울산시근로자복지회관 준공 이후 5개월만에,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복지회관 앞에서 농장을 시작한지 3개월만에 정상 가동된 것이다. 울산시와 민주노총은 지난해 12월26일 민주노총이 사무실 입주를 철회하는 대신 시가 복지회관앞 사유지 6천여평에 임시 가건물을 신축, 민노총이 영구적 사무실을 확보할때까지 사용토록 한다는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또 회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울산시와 민주노총, 한국노총 3자 운영위 구성과 관련해서도 이미 구성돼 있는 근로자회관운영위원회에 민주노총이 참여키로 하면서 마무리 됐다. 울산시는 그동안 잇딴 개관 연기와 물리적 충돌 등 회관 운영에 따른 마찰이 장기화돼서는 안된다고 보고 연말 노동계와의 극적 타협을 이끌어 냈다. 근로자복지회관은 남구 삼산동 1538~1 일대 1천525평의 부지에 시비 136억원 경남도비 8억원, 국비 29억원 등 173억원의 사업비을 들여 97년 12월26일 사업에 착공, 2년7개월만인 지난 7월10일 준공됐다. 지하 2층, 지상 5층, 연건평 3천220평의 현대식건물로 공연장, 수영장, 예식장, 볼링장, 취미·기능교실 등 체육 문화 교양·교육 및 생활편의 시설을 두루 갖추고 있다. 회관 시설물 전체 운영권은 울산시 시설관리공단에서, 수영장 예식장 볼링장 시설은 지역 비영리법인·단체를 대상으로 수탁자를 공개 모집, 운영하고 있다. 울산시와 울산시의회, 한국노총, 노동부 등 각급 기관·단체 대표 7명으로 회관 운영위원회를 구성해 수탁자 결정 및 시설이용 조례를 결정했다. 수영장층(지하1층)은 울산시생활체육협의회가 2003년 11월까지 3년간 위탁 운영한다. 이용요금은 일일(대인기준) 3천원, 월 4만7천원이며 헬스장과 에어로빅 각3만원, 전 시설을 이용할 경우 월 6만5천원이다. 지상 3층 예식장층은 한국노총울산시본부가 운영중이다. 예식실과 폐백실 이용은 8만원과 1만원, 미용실은 기본커트 5천원 일반퍼머 1만5천원 수준. 지상 4층 볼링장층 운영자는 국민생활체육울산시볼링연합회로 결정됐다. 이용요금은 볼링장의 경우 하루 1천700원 월 4만5천원, 주부교실 2만원 등이며 탁구장 이용은 3천500원이다. 특히 수영장, 예식장 등 회관 이용료는 시중 평균가격 보다 20~30%까지 저렴해 시민 및 근로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덜어주고 있다. 공연장과 소회의실, 취미실 등은 근로자들이 퇴근한 이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밤10시까지(동절기 9시) 운영해 시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시는 지금까지 100만 시민의 세금을 들여 지은 근로자복지회관 건물은 울산시민 전체의 복지를 위해 쓰일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해 왔다. 복지회관 운영 방법도 수도, 청소, 경비 등 자체 유지관리는 시에서 직영하고 건물의 관리는 용역회사에서 관리토록한다는 방침을 견지해 왔다. 복지를 위한 예식장, 볼링장, 수영장 등의 편익시설은 노동단체나 비영리 법인단체에 수탁 관리하고 매점, 약국, 은행 등 수익시설은 임대·운영해 회관 운영경비에 도움이 되도록 할 방침이다. 공연장, 회의장, 취미교실 등 공동시설은 시에서 직영하되 근로자 또는 노사공동의신청시 실비정도의 수수료만 받고 대여해 줄 계획이다. 이때문에 시는 시민 전체를 위한 시설을 특정 노동단체를 위한 사무실로 전용 사용할 경우 당초 계획된 건물의 기능이 떨어질 우려가 높다며 민주노총의 사무실 입주요구를 거부해 왔다. 회관 공동운영과 사무실 입주를 계속 요구해 온 민주노총측에 복지회관과는 별개로재정적 지원 및 회관 운영의 투명성을 약속해 왔다. 이와관련해 시는 민주노총에 하루속히 농성을 중지하고 회관 개관을 함께 축하하는노동단체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 시민의 사랑받는 노동단체로 거듭날 것을 촉구하기도했다. 시와 노동계간의 타협점을 찾지 못한 가운데 지난 20일 강행한 개관식에서는 심완구 시장 등이 계란세례를 당하는 등 물리적 충돌을 낳기로 했다. 하지만 시와 민주노총은 개관식 충돌사태 이후 6일만인 지난 26일 극적 타협점을 찾아 근로자복지회관 운영문제 뿐 아니라 시 전체의 노동문제 해결에 가능성을 안겨줬다. 시와 민주노총간에 합의한 근로자복지회관 운영위 구성과 민노총의 사무실 확보 등에 대한 막판 합의서 작성을 놓고 진통을 겪고는 있지만 큰 장애물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시는 근로자복지회관이 오랜 산고끝에 정상 운영되는 만큼 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해 울산시민의 편의로 복지를 위한 시설로 탈바꿈 시킬 계획이다. 김창식기자